
컨테이너 개조 -이미 이미지를 통해 생성된 컨테이너에 서버를 배포한 뒤 직접 수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규모 수정에는 새로 컨테이너를 생성하는게 빠르지만, 자잘한 수정같은경우는 직접 컨테이너 내부 수정을 하는게 더 유리합니다. 따라서 컨테이너에 직접 자잘한 수정사항들을 변경하려면 크게 호스트, 컨테이너간의 파일 공유하는 방식, 마운트를 활용하는 방식, 쉘로 원격으로 수정하는 방식 이렇게 3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파일 공유 컨테이너와 호스트간의 파일 공유를 통해 컨테이너를 재생성하지 않고서 변경사항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 -> 컨테이너 파일 공유 -호스트 로컬 저장소 파일을 컨테이너로 복사합니다. docker cp [호스트 파일 경로] [컨테이너 이름:컨테이너 파일 경로] 컨테이너 -> 호스..

도커란? -컨테이너 기반으로 작동하는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으로 물리적 자원인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 하기 위해 하드웨어 위에 가상의 머신을 생성하여 데이터, 응용 프로그램등을 호스트 환경과 격리 시켜 빠르게 구축,테스트, 배포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즉, 호스트 컴퓨터의 OS의 기능은 그대로 사용하지만, 프로세스 공간을 격리해 독립된 환경을 만들어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도커가 필요한 이유 하드웨어 자원 조정 어려움 도커 없이 물리적 컴퓨터에 서버를 구축한다고 했을 시, 서버 컴퓨터 OS위에 프로그램을 올려 실행을 합니다. 이렇게 서버 프로그램을 하나 올려서 사용할 시에, 프로그램의 필요 성능에 맞게 직접 하드웨어를 구축하기 어려워 하드웨어의 자원의 부족,낭비 현상이 일어납..
- Total
- Today
- Yesterday
- 서버
- 자바
- 도커
- 컴퓨터구조
- 클라우드
- 자동화
- 인공지능
- 소프트웨어공학
- nat
- 문법
- 테이블
- 프로토콜
- 파인튜닝
- 깃
- 포트포워딩
- IP주소
- 네트워크
- 쿼리
- 깃허브
- 데이터
- JPA
- sql
- 배포
- 메세지큐
- 웹소켓
- 보안
- DB
- 컨테이너
- 데이터베이스
- 스프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