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포넌트 스캔이란? -스프링이 직접 클래스를 검색해서 빈으로 등록해주는 기능입니다. 직접 수동으로 빈을 등록하지않아도, 코드에 컴포넌트라고 표시만 해주면 스프링이 컴포넌트로 지정된 부분을 찾아서 자동으로 빈으로 등록을 해주는 기능입니다. 컴포넌트 스캔 과정 스캔 대상 패키지 지정 - 컴포넌트 스캔을 수행할 패키지를 지정하여 스프링이 스캔을 해야하는 패키지를 지정합니다. @ComponentScan 애노테이션을 통해 스캔 대상 패키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 탐색 -지정된 패키지 내부에 있는 클래스들을 탐색합니다. 전체 클래스를 탐색하며, 컴포넌트로 지정된 클래스들만 찾아서 스캔합니다. 어노테이션 탐색 -클래스들을 스캔하면서 컴포넌트만 찾기위해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찾습니다. 해당 어노테이션..

빈(Bean)이란?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를 하고 있는 객체를 뜻합니다. 이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 안에서 관리되며,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객체들인 빈을 컨테이너가 받아오거나 전달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빈이 5개 등록이 되어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빈이 필요할때 컨테이너에게 필요한 빈이 컨테이너 내부에 있는지 요청하고, 해당 빈이 있으면 컨테이너가 빈을 전달합니다. @Bean 과 @Component의 차이 Bean Bean은 메소드 레벨에서 선언하며, 반환 되는 객체를 수동으로 빈으로 등록하는 것 @Configuration 선언된 클래스 내부에서 선언되어 빈등록 Component Component는 클래스 레벨에서 선언하며, 컴포넌트 스캔을 통해 객체를 자동으로 빈을 등록..
- Total
- Today
- Yesterday
- 메세지큐
- IP주소
- 클라우드
- 포트포워딩
- nat
- 인공지능
- 스프링
- 깃허브
- 배포
- 웹소켓
- 자동화
- 컴퓨터구조
- 파인튜닝
- 도커
- sql
- 깃
- 테이블
- 네트워크
- DB
- 소프트웨어공학
- 데이터베이스
- 보안
- 데이터
- 문법
- 쿼리
- 서버
- 컨테이너
- 자바
- JPA
- 프로토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