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네트워크

스위치(Switch)

tioon 2023. 6. 27. 21:57
스위치란?

-OSI 모델에서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입니다. 이는 자신의 여러 포트로 여러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연결된 디바이스가 보낸 패킷을 받아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역할을합니다. 보통 내부망에서 MAC주소를 활용해 내부망 통신을 할때 주로 쓰입니다. 스위치 내부에 있는 MAC주소 테이블을 통해 MAC통신을 지원합니다.

 

 

허브와의 차이점

- 서로 포트로 연결된 디바이스끼리 통신을 지원한다는 점이 공통점이나, 허브는 전달할때 무조건 브로드캐스트 방식만 하는것에 비해 스위치는 목적지 포트로만 패킷을 보낸다라는 차이점이있습니다.

 

 

MAC주소 테이블
  • 스위치 내부에 저장되어있습니다.
  •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되어있는 장치의 MAC주소가 등록되어있는 구조입니다.
  • MAC주소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삭제됩니다.
  • 데이터 통신시에 저장되어있지 않은 새로운 MAC주소가 들어오면 해당 MAC주소를 저장합니다.

 

 

 

MAC주소 테이블 동작원리

위와 같은 내부망에 포트가 4개가 연결되었다고 가정할때 MAC주소 테이블이 다음과 같다고 가정합니다.

포트 MAC주소
1 X
2 BB-BB-BB-BB-BB-BB
3 CC-CC-CC-CC-CC-CC
4 X

 

이렇게 MAC 주소 테이블이 있을시 포트 2번 컴퓨터와 포트 3번 컴퓨터와의 통신은 MAC주소를 알게되어 바로 통신이 가능하나, 1번컴퓨터와 4번컴퓨터의 통신은 현재 MAC주소 테이블에저장되어있지않습니다.
따라서 나중에 1번,4번포트에서 MAC주소 통신이 일어날때 스위치로 오게되면 동적으로 추가적으로 저장을 합니다.
이렇게 스위치는 자동으로 MAC주소를 학습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가졌습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N(virtual private network)란?  (0) 2023.07.19
네트워크 기초  (0) 2023.07.10
게이트웨이(GateWay)란?  (0) 2023.06.27
네트워크 보안 (공개키, 대칭키)  (0) 2023.05.13
HTTPS프로토콜이란? (SSL,TLS)  (0) 2023.05.1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