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버추얼 박스를 통해 가상 os를 구축할때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 서로 통신을 해야할때가 있습니다. 이럴때 버추얼박스의 설정에서 다양한 네트워크모드를 지원하는데 오늘은 그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네트워크 설정은 버추얼박스 설정-네트워크 -어댑터로 가시면 있습니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주소를 변환하는 기술로 사설 IP와 공인 IP를 상황에 따라 주소를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사설 IP는 내부망에서 직접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한데 NAT기술을 통해 공인IP로 변환을하여 인터넷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합니다. NAT의 기술에는 Static NAT, Dynamic NAT이 있는데 Static은 공인IP와 사설IP 1대1 매칭이고, Dynamic은 여러개의 사설IP를 하나의 공인 IP로 다대1 방식입니다.
맨아래 3개의 가상 머신이 버추얼박스에서 실행된 가상머신입니다. 버추얼 박스에서 NAT방식은 내부 가상 머신 네트워크와 호스트 컴퓨터의 네트워크 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며, NAT방식을 통해 연결되어있습니다. 하지만 가상 서버 여러대가 있어도 같은 IP로 할당되어있어 3대 모두 외부로 인터넷 통신은 되지만 자기들끼리 통신은 가능하지않습니다. 또한 여러대의 가상머신들의 게이트웨이는 같습니다.
버추얼박스에서 NAT을 설정후 저장하고 버추얼박스를 실행하시면 NAT방식으로 작동이 됩니다.
NAT Network
-NAT방식과 비슷하지만 NAT 방식과는 다르게 호스트 컴퓨터와 가상머신간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가상머신간의 네트워크 통신도가능합니다. 이방식은 버추얼 박스 내부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내부에서 여러개의 가상 머신을 연결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독립된 네트워크를 제공합니다.
사진을 보시면 NAT방식과 유사하지만 버추얼박스 내부의 가상머신들이 각각 다른 IP주소를 가지고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서로 독립된 네트워크임을 확인할 수 있고, 서로가 내부 망으로 묶여있어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버추얼 박스에서 NAT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저장하시고 실행하시면 됩니다. 처음하시는거면 이름 부분에 네트워크가 없을텐데 이 가상 네트워크 설정하는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맨위 파일-환경설정으로 들어갑니다.
네트워크란에서 NAT 네트워크란의 오른쪽부분 맨위버튼을 클릭해 새로운 NAT 네트워크를 생성합니다.
생성된 네트워크를 더블클릭해 네트워크 세부정보를 입력합니다.
Bridged Network
-이 방식은 호스트 컴퓨터의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모드로, 가상머신을 호스트컴퓨터와 동일하게 사설 ip를 받아 실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것처럼 동작하며, 호스트컴퓨터와 가상머신이 동일한 내부망으로 묶여 서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시면, 가상머신이 실제 호스트와 비슷하게 사설 ip를 가지고있어 한 네트워크에 속하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한 네트워크망에있어 가상머신 3대와 실제 호스트 3대가 서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버추얼 박스에서 어댑터에 브리지를 선택하고 저장후 버추얼박스를 시작하시면됩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프로토콜 (0) | 2023.05.13 |
---|---|
DHCP란? (0) | 2023.05.12 |
DNS서버란? (0) | 2023.05.07 |
MAC주소와 ARP (0) | 2023.05.02 |
멀티플렉싱 개념(select,epoll)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