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화란? -데이터베이스 설계과정에서 데이터간의 중복을 최소화 하고 데이터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한 형식입니다. 정규화의 주 목적은 데이터 베이스의 이상 현상을 줄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는 것 입니다. 즉, 테이블을 잘개 쪼개 데이터의 중복성을 제거하며, 입력,수정,삭제의 성능이 향상됩니다. 정규화 장점 중복 제거 -정규화를 통해 데이터의 중복이 최소화됩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이 향상되며, 저장 공간도 절약됩니다. 데이터 무결성 향상 -정규화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는 무결성 규칙이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상현상 제거 -정규화를 통해 삽입, 삭제, 갱싱 이상 현상을 방지하며, 더욱 효율적으로 데이터관리를 합니다. 설계 명확성..

MAC주소란? -MAC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식별자이며,MAC 주소는 물리적 주소, 하드웨어 주소라고도 불린다. 보통 MAC주소는 6바이트의 길이를 가지며 16진수로 표현됩니다. (EX. 00:1A:2B:3C:4D:5D) 이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조사에 의해 할당되며, 유일한 값입니다.물리적 계층(2 계층)에서 사용되며 LAN 카드를 다른곳으로 옮겨도 MAC주소는 같습니다. MAC주소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ARP 프로토콜이란? -MAC주소를 알고 있는 IP주소를 찾기위한 프로토콜. 즉 상대방의 MAC주소를 모를때, 상대방의MAC주소를 알기위해 진행되는 과정입니다. A가 B에게 데이터를 보내려함 B의 MAC주소를 알기위해 ARP패킷(B의 IP주소포함)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
*공부 기록용으로 하는 블로그입니다.잘못된 개념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정보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관계형 모델이란? -관계형 데이터모델이란 데이터를 테이블로 구성을 한 후 테이블들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모델입니다. 데이터는 테이블로 표현되며 각 테이블은 행렬로 구성이 됩니다. 열은 속성,행은 튜플이라고 하며 이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이며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하고 관리합니다. 관계형 모델 기본 개념 관계(Relation) : 관계는 테이블을 의미합니다. 관계형 모델에선 이러한 테이블을 관계 형식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르 저장 및 관리 합니다. 튜플(Tuple) : 튜플은 테이블의 한 행(row,가로 줄)을 의미합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토콜
- 데이터
- nat
- IP주소
- 데이터베이스
- 파인튜닝
- 스프링
- 배포
- 서버
- 컨테이너
- JPA
- 자동화
- 클라우드
- 깃허브
- 컴퓨터구조
- 인공지능
- 문법
- 쿼리
- 네트워크
- 테이블
- 소프트웨어공학
- DB
- 도커
- 메세지큐
- 깃
- sql
- 포트포워딩
- 웹소켓
- 보안
- 자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