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메모리란? -프로그램의 주소 공간을 실제 메모리에서 분리 시켜놓은 기술입니다. 가상주소는 프로그램 주소 공간이고, 실제 주소는 실제 메모리의 위치입니다. 가상 메모리와 실제 메모리의 공간은 서로 분리된 독립적인 공간이며, 실제 메모리보다 가상 메모리의 크기가 훨씬 큽니다. CPU에서 가상메모리를 가지고 있고 이를 사용할때 MMU라는것을 통해서 실제 메모리로바꿔서 사용합니다. 가상메모리를 쓰는 이유는, 바로 실제 메모리로 매핑하면 메모리관리가 복잡해지고, 보안이 취약해지며, 오류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기때문입니다. (가상 메모리는 개념상으로 보면 매우 비효율적이지만 지역성이 좋아 사용합니다) 가상 메모리의 장점 메인 메모리 효율적사용 -가상메모리에 전체 전체 데이터를저장하고 일부를 실제 메모리로 가져와서..
파인튜닝이란? -미리 학습된 GPT 모델을 특정한 분야에 대해서 추가적인 학습을 시키는것을 말합니다. 기본적인 GPT모델에 특정분야의 데이터를 추가학습시켜 강화시키는것을 파인튜닝이라고 합니다. 파인튜닝을 해야하는 이유 -본격적으로 GPT 모델은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전학습된 모델인데, 이건 기본적인 단어와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며 이를이용해 일정한 패턴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데이터는 학습이 되어있으니 특정 분야에 대해 정확하게 답변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그 분야의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그 분야에맞는 추가적인 데이터를 학습시켜 모델을 강화시켜 특정분야에서 더욱 정확한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파인튜닝 과정 먼저 파인튜닝을 진행되기위해선 OPENAI라이브러리가 최신버전이어야..
트리거란? -트리거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특정 테이블에 대한 작업이 발생하였을때,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만든 작업으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지정된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게 합니다. 이것을통해 자동화 기능이라던지, 데이터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트리거 문법 CREATE TRIGGER trigger_name //트리거 생성 및 이름 {BEFORE | AFTER} {INSERT | UPDATE | DELETE} OF 속성 //트리거 발생할 명령어 종류 ON table_name referencing OLD AS (변경되기전 테이블) referencing NEW AS (변경된 후 테이블) //트리거 값 참조 [FOR EACH ROW | STATEMENT] //트리거 실행 대상 (각각의 행 하나씩 , 행 전..
챗GPT API란? -OpenAI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인공지능 언어 모델인 GPT의 기능을 API 형태로 외부에 공개하여 개발자들이 API형식으로 간편하게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한 것입니다. 이 API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절한 응답을 자연어 형태로 반환하여 문장생성, 번역, 요약등의 다양한 언어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챗GPT API 종류 GPT-3.5-turbo -API를 제공하는 GPT 모델중에선 가장 최신의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그전의 GPT3와는 다르게 좀더 언어 처리능력이 발전하였고, 특히 전모델에 비해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어나갈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FINE-TUNING MODEL -이 모델들은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는 모델들입니다. GPT의 기본적인 능..
무결성 제약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일관성, 정확성,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약조건입니다.데이터가 의도하지않은 값이나 형식으로 입력되지 않도록 제한하고, 데이터간의 상호관계를 지켜줌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이 제약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항상 만족하여야하는 조건이며 개체 무결성, 참조무결성으로 나뉜다. 개체 무결성 (단일 테이블 조건) NOT NULL - 각 레코드는 필드 값이 NULL이 아니여야함. NULL이 입력될 시 오류를 반환합니다. (속성 하나만 적용가능) PRIMARY KEY -각 레코드는 필드 값이 NULL이 아니여야하며, 유일한 식별자를 가져야합니다. 즉 중복되는 값과 NULL값이 없어야하는 조건입니다. (다수의 속성 적용가능) UNIQUE - 각 레코드는 필드값이 ..
VIEW 란? -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저장한 가상테이블이다. 특정 데이터나 조건에 맞는 데이터들을 가상으로 가져와 볼 수 있으며 테이블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있기때문에 테이블을 안정성있게 표시할 수 있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뷰의 특징 데이터 보안성 -사용자가 직접 테이블에 접근하지 않고 뷰를 통해서 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어 데이터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 민감한 데이터 보호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중 일반 사용자에게 공개되면 안되는 민감한 데이터들을 뷰를 이용해 숨겨서 나머지데이터만을 공개할 수 있어 민감한 데이터 보호를 할 수 있다. 복잡성 간소화 -뷰를 사용해 복잡한 쿼리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여러개의 조인 쿼리나 서브쿼리를 이용해야 하는경우 뷰..
MAC주소란? -MAC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식별자이며,MAC 주소는 물리적 주소, 하드웨어 주소라고도 불린다. 보통 MAC주소는 6바이트의 길이를 가지며 16진수로 표현됩니다. (EX. 00:1A:2B:3C:4D:5D) 이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조사에 의해 할당되며, 유일한 값입니다.물리적 계층(2 계층)에서 사용되며 LAN 카드를 다른곳으로 옮겨도 MAC주소는 같습니다. MAC주소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ARP 프로토콜이란? -MAC주소를 알고 있는 IP주소를 찾기위한 프로토콜. 즉 상대방의 MAC주소를 모를때, 상대방의MAC주소를 알기위해 진행되는 과정입니다. A가 B에게 데이터를 보내려함 B의 MAC주소를 알기위해 ARP패킷(B의 IP주소포함)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