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ler, Repository, Service 분리 이유 -스프링에서 한곳이아닌 여러 파일로 분리후 Controller, Repository, Service등으로 역할을 분리한 이유는 소프트웨어의 구조적인 모듈화와 관심사의 분리를 하기 위한 것입니다. 각각의 역할을 달리가져 서로 다른 책임과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코드 가독성 ,유지보수성,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Controller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담당함 클라이언트와의 상호작용을 처리함. 요청의 라우팅처리 및 Service호출등을 수행함. Service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함. 컨트롤러의 요청을 받아 해당 요청에 맞는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함. 로직 내부에서 데이터 필요 시..
빈(Bean)이란?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를 하고 있는 객체를 뜻합니다. 이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 안에서 관리되며,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객체들인 빈을 컨테이너가 받아오거나 전달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빈이 5개 등록이 되어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빈이 필요할때 컨테이너에게 필요한 빈이 컨테이너 내부에 있는지 요청하고, 해당 빈이 있으면 컨테이너가 빈을 전달합니다. @Bean 과 @Component의 차이 Bean Bean은 메소드 레벨에서 선언하며, 반환 되는 객체를 수동으로 빈으로 등록하는 것 @Configuration 선언된 클래스 내부에서 선언되어 빈등록 Component Component는 클래스 레벨에서 선언하며, 컴포넌트 스캔을 통해 객체를 자동으로 빈을 등록..
동시성이란? -동시에 여러 작업이 실행되는 것을 의미하는것, 멀티 태스킹, 멀티프로세스등의 환경을 뜻합니다. 여러 프로세스를 나눠 여러작업을 하는것은 병렬성(parallelism)이라고하며, 병렬성과 동시성은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Concurrency(동시성) Parallelism(병렬성) 프로세스 개수 1개 여러개 전체 작업 여러작업가능 여러작업가능 한프로세스 내 작업 한개의 프로세스가 여러개작업 한개의 프로세스가 한개의 작업 의미 여러작업이 동시에 실행 작업들이 동시에 병렬적으로 실행 멀티 태스크 vs 멀티 프로세스 멀티태스크 -멀티태스크란 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여러가지의 작업을 하는 것을 뜻합니다. 동시에 병렬적으로 진행하는것이 아닌, 빠르게 여러작업을 돌아가면서 수행하여 동시에 진행하..
쉘(Shell)이란?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중개하는 프로그램, 많은 시스템 콜들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동작하여 사용자가 하드웨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고 편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쉘의 특징 명령어 해석 -쉘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데, 이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대화형 환경(interactive)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면 즉시 결과를 반환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를통해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작업을 수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습니다. 환경설정 - 쉘을 통해 환경변수, 별칭(alias)등을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별칭이란 사용자가 특..
DI(Dependency Injection)이란?-스프링에서 객체 간의 의존성을 관리하는 방법, 객체가 필요로하는 타 객체를 직접 생성하지않고, 외부에서 주입받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쉽게말해서, 한 객체내에서 각자 코드구현에 필요한 타 객체가 있을겁니다. 여기서 필요한 객체를 내부 코드에서 직접 생성하게 되면 결합도가 높아져 나중에 코드변경이 있을때, 복잡해 집니다. 따라서, 내부에서 직접 생성하는 것이아닌 외부에서 주입받는 방식으로, 결합도를 낮춰 유지보수를 쉽게할 수 있게 만드는법을 말합니다. DI가 필요한 이유public interface Recipe{ } public class Ramen implements ..
스택(stack)이란? -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의 원리를 따르는 자료구조로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일어나는 형태를 말합니다. Push를 통해 데이터를 삽입하고 Pop을 통해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메모리에서 스택이란? -컴퓨터 메모리의 일부 영역으로, 함수 호출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됨, 함수 생성을하면 PUSH로 함수내부 지역변수들을 넣고, 함수해제시 POP으로 제거함. 메모리 스택 특징 함수 생성되면 함수 내부의 데이터크기를 계산해 먼저 스택에 사이즈 할당함. 지역변수,매개변수들을 차례대로 하나씩 할당함. (매개변수->지역변수->return pc값 순서) 각 변수들의 사이즈는 독립적임 (사이에 들어가는것 불가능) 함수 생성시 마지막에 돌아가야할 ..
이번 장에서는 CPU가 메모리Fetch를 할때 Virtual Address을 Physical Address로 변환 시켜 가져오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과정을 크게 살펴보면 CPU가 TLB를 참조하여 Virtual address를 참조함, 있으면 TLB HIT. TBL에 없을경우 TLB miss가 일어나 Page Table에가서 가상주소를 찾아옴 Virtual address를 찾은후 Physical address로 변환함 L1 cache로가서 해당 Physical address에 해당하는값을 찾음, 있으면 L1 HIT. L1에 없을경우 L1 miss가 일어나 다른 메모리로가서 찾음. 찾으면 CPU로 fetch함. 이때 VPO, PPO, CI,CO는 바뀌지않는 값입니다. 즉, 이값은 서로 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