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켓(Web Socket)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와 같은 웹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실시간, 이벤트 기반 통신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때 쓰이며,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자유롭게 메세지를 보낼 수 있게 연결을 합니다. 이 연결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자유롭게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을 할 수 있고, 서버측에서는 웹소켓 연결된 클라이언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웹소켓 구현 과정 WebSocket 설정 @Configuration과 @EnableWebSocketMessageBroker를 이용해 웹소켓 설정 파일을 구현합니다. 이 설정 클래스는 WebSocketMessageBrokerConfigurer를 구현하고 있는데, 총 두개의 메서드..

서브넷 마스크란? -IP주소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비트 패턴입니다. 32비트로 구성된 IPv4주소에서 서브넷 마스크는 0과 1로 이루어진 32비트 숫자로 표현되며, 서브넷 마스크의 1비트는 네트워크부분, 0비트는 호스트 부분을 나타냅니다. 이를 사용해 ip주소를 조금더 효율적으로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서 ip주소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 마스크 특징 IP주소 세분화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IP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나눕니다. 이를 이용해 IP주소를 효율적으로 세분화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진 비트 패턴 -서브넷 마스크는 이진 비트패턴(0,1)으로 표현되며, 1은 네트워크, 0은 호스트 부분을나타냅니다. 네트워크 크기 결..

셀이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가장 작은 영역을 의미합니다. 기지국들이 일정한 지역을 관리하는곳을 셀이라 부르며, 각 셀은 독립적인 작은 무선 통신영역이며, 서로 겹치지않는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셀룰러란? -셀룰러란 셀이란 작은 영역들의 통신망을 뜻합니다.각 이동통신사들이 구축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이동중인 사용자들에게 이동성과 지속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즉, 셀은 영역을 나타내는 단어이고, 셀룰러는 해당 영역을 관리하는 통신망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셀룰러 특징 이동성 -셀룰러 통신은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해당 통신망의 범위를 넘어가게되면 자동으로 인접한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Handover)를 해서 통화나 데이터 통신이 끊김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합니다. 주파수 효율성 -셀을 ..

NAT이란? -사설 IP주소와 공인 IP주소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NAT은 라우터에서 일어나며, 라우터 내부망에서는 사설IP를 사용, 외부에서는 공인IP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설 네트워크 내부에서 외부와 통신이 일어날때 공인 IP주소로 바꿔 통신을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NAT을 이용해 인터넷 접속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고, IP주소 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NAT 특징 IP주소 변환 -NAT을 이용해 사설IP를 공인 IP로 변환하거나, 공인IP를 사설IP로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보통 사설 네트워크 내부의 여러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공인IP주소를 공유합니다. 네트워크 보안 향상 -NAT을 사용해 내부 네트워크 사설IP주소를 외부에 감춰 보안을 향상시킵니다.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

라우팅(Routing)이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패킷(packet)이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하는 경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라우팅은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따라 목적지에 도달하도록하는 역할을합니다. 이과정은 여러개의 라우터를 이용해 구현이 됩니다. 쉽게말해,우리가 식당을 찾아갈때 최적의 경로로 가는법을 알아내어 가는것처럼, 우리가 다른컴퓨터에 패킷을보낼 때 최적의 경로로 가는법을 알아내어 패킷을 보내는것을 뜻합니다. 라우팅에 필요한 정보 IP주소 -라우팅은 IP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식별하는데, 라우팅을 하기위해서 출발지와 목적지 IP주소와,라우터들의 IP주소를 알아야합니다. 라우팅 테이블 -라우터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다른 라우터들과 경로정보를 저장..

로드 밸런싱이란? -컴퓨터 네트워크나 서버 환경에서 트래픽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술을 말합니다. 서버에 들어오는 다수의 요청을 여러대의 서버로 분산하여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이는 로드 밸런서라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이 됩니다. 로드밸런싱 특징 부하 분산 -로드 밸런스는 여러대의 서버를 동시에 관리하고 클라이언트로 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서버들에게 균등하게 분배합니다.이를 활용해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서버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가용성 증가 -로드 밸런스를 통해 여러개의 서버를 관리를 함으로써, 한대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고 다른서버들이 계속해서 작동합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가용성을 향상시키고..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사이에서 중개역할을 수행하는 서버입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인터넷을 사용할때, 클라이언트가 웹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게 되는데 이 사이에서 프록시 서버가 중간에서 중계를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록시 서버 특징 보안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응답을 필터링하여 악성 코드나 해킹 시도와 같은 보안 위협을 차단하거나 감시 가능합니다. 또한,외부 인터넷에서 서버 내부의 침입을 막는 방화벽과 같은 효과를 가집니다. 익명성 보장 -프록시 서버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면, 웹서버에선 클라이언트의 실제 IP주소를 알수 없고, 프록시 서버 IP주소만 볼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의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캐시 -프록시 서버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보안
- 프로토콜
- 메세지큐
- IP주소
- 인공지능
- 테이블
- 웹소켓
- JPA
- 깃
- 포트포워딩
- nat
- 데이터베이스
- sql
- 서버
- 깃허브
- 배포
- 스프링
- 자동화
- 쿼리
- 컴퓨터구조
- 컨테이너
- 문법
- DB
- 소프트웨어공학
- 파인튜닝
- 데이터
- 네트워크
- 자바
- 클라우드
- 도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