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운영체제)란?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특수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은 하드웨어관리, 프로세스관리,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제공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이것처럼 시스템의 중심적인 관리자 역할을 하며, 하드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애플리케이션과 운영체제는 시스템 콜을 통해 연결이 되고, 운영체제와 하드웨어는 드라이버를 통해 연결이 됩니다. 운영체제의 내부구조 시스템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은 기본적인 시스템 작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대화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쉘, 파일 복사, 디스크 정리, 백업등의 도구를 나타냅니다 커널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시스템의 모든 ..

대칭키(Symmetric key) - 암호화 복호화를 할때 같은 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 하기 위해서 같은 키가 필요합니다. 이방식은 간단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지만 키관리가 어렵고, 키 유출될경우 보안이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Client와 Server둘다 같은 대칭 키를 가지고 있어 암호화와 복호화가 같은 키로 이루어 집니다. 통신하는 노드가 많아지면 키를 각자가져야하기에 복잡성이 생깁니다. 대칭키 주요개념 키(Key)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입니다. 암호 알고리즘(Encryption algorithm) 입력값으로 들어온 평문을 다양한 방법으로 치환하고, 변환하여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입니다. 평문(Plaintext) -암호화되기 전의 원본 데이터를 의..

컨테이너 개조 -이미 이미지를 통해 생성된 컨테이너에 서버를 배포한 뒤 직접 수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규모 수정에는 새로 컨테이너를 생성하는게 빠르지만, 자잘한 수정같은경우는 직접 컨테이너 내부 수정을 하는게 더 유리합니다. 따라서 컨테이너에 직접 자잘한 수정사항들을 변경하려면 크게 호스트, 컨테이너간의 파일 공유하는 방식, 마운트를 활용하는 방식, 쉘로 원격으로 수정하는 방식 이렇게 3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파일 공유 컨테이너와 호스트간의 파일 공유를 통해 컨테이너를 재생성하지 않고서 변경사항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 -> 컨테이너 파일 공유 -호스트 로컬 저장소 파일을 컨테이너로 복사합니다. docker cp [호스트 파일 경로] [컨테이너 이름:컨테이너 파일 경로] 컨테이너 -> 호스..

락(Lock)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트랜잭션이 한 데이터에 동시에 접근하여 연산이 수행될때 데이터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위해 쓰이는 개념입니다. Lock을 사용하여 한 시점에 하나의 데이터에 하나의 트랜잭션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제한하며, UnLock을 통해 Lock을 풀 수 있습니다. Lock의 종류 Exclusive Mode (X) -Write Lock이라고 부르며, 한 트랜잭션에게 읽기 + 쓰기 권한을 부여합니다. 한번에 한 트랜잭션만 접근가능하며, 이미 한 트랜잭션에 부여된 경우, 다른 트랜잭션에선 아무도 Read Lock, Write Lock을 하지 못합니다. Shared Mode (S) -Read Lock이라고 부르며, 여러 트랜잭션에게 읽기 권한..

LAMP 스택이란? -웹사이트나 보통의 서버 운영에 자주 쓰이는 소프트웨어들의 이름을 합한 약자로, 보통 도커에 서버를 올릴 때필수적으로 필요한 것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모드 오픈소스 로 제공되며 다양한 커뮤니티가 있으며,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LAMP스택은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통 서버를 구축할 때 아래의 내용처럼 운영체제 + 웹서버 + 데이터베이스 서버 + 프로그래밍언어가 한 세트로 묶여서 필수적으로 서버에 들어가야 합니다. L - Linux (운영체제) A - Apache(웹 서버) M - Mysql(데이터베이스 서버) P - PHP(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연결 과정 도커를 활용해 서버를 구축하여 올릴 땐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를 따로 생성하여 연동 ..

도커 네트워크 종류 Bridge 네트워크 -기본 네트워크 모드로서,도커 엔진의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도커엔진 내부 컨테이너들을 하나의 LAN으로 묶는 기술입니다. 컨테이너들은 Bridge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식별되며, 도커엔진의 외부로는 식별이 안됩니다. 따라서 이 네트워크로 구축하였을 때에는, 외부에서 컨테이너 접근을 하게 하려면 포트포워딩 기술을 활용해야 합니다. Host 네트워크 -직접 호스트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도커 엔진내부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것이 아닌, 호스트 컴퓨터의IP주소를 사용하여 마치 호스트의 일부 프로세스 처럼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게됩니다. 즉, 컨테이너와 호스트는 다 똑같은 IP주소를 가지며 포트번호를 달리해서 컨테이너를 구분하고, 외부에서 컨테이너 ..

도커 명령어 구조 docker [상위 커맨드 + 하위 커맨드] (옵션) [대상] (인자) 상위 커맨드 -도커의 주요 기능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커에서 어떤 기능에 대한 명령어를 사용할지 정합니다. 커맨드 종류에는 컨테이너,이미지,볼륨,네트워크 등이 있습니다. 각 상위 커맨드들은 하위커맨드를 필수적으로 요구 하기도, 요구하지 않기도 합니다. 하위 커맨드 -상위 커맨드의 구체적인 작업, 기능을 나타냅니다. 상위 커맨드에 따라 다양한 하위 커맨드가 있으며, 하위 커맨드에 따라 각각 다른 작업을 수행합니다. 대상 -명렁어를 적용시킬 대상입니다. 상위 커맨드에 따라 대상의 종류가 달라지며, 해당 대상의 이름이나 ID로 구분합니다. 커맨드 구조 컨테이너 생명주기 이미지 생성 -도커 허브로 부터 원하는 이미지를 로..
- Total
- Today
- Yesterday
- JPA
- 도커
- 소프트웨어공학
- 데이터
- DB
- 네트워크
- 포트포워딩
- 자바
- 서버
- 컨테이너
- 메세지큐
- 프로토콜
- 데이터베이스
- sql
- IP주소
- 테이블
- 깃허브
- 보안
- 깃
- 웹소켓
- nat
- 자동화
- 배포
- 컴퓨터구조
- 클라우드
- 쿼리
- 문법
- 파인튜닝
- 인공지능
- 스프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